본문 바로가기

Project

[프로젝트 Day 1] AWS의 EC2 인스턴스 생성 하기. (서버 생성)

 


프로젝트 시작에 앞서, 최종적으로 배포를 목적으로 한 프로젝트 였기에 AWS 의 Free-tier 정책을 이용하여 무료로 서버를 만들어 볼게요. 또한, 아예 처음으로 다루어 보는 지식이라 용어들도 함께 정리해 볼게요.


1. EC2 생성하기

  • EC2 (Elastic Compute Cloud) 란 , 아마존에서 각각의 사용자에게 컴퓨터 용량을 유연하게 제공해 주는 서비스.
    사용하는 용량, cpu의 성능 등 다양한 요소에 따라 가격이 변동 될 수 있음.
  • 1) 인스턴스 생성 과정

- 우분투로 하는 이유는 오픈소스 운영체제로 비용이 안든다는 점! 서버환경에 최적화된 OS 인 점에 많이들 Ubuntu를 이용한다. 윈도우나 macOs 는 프리티어에서 이용할 수 있는 30gb 의 용량을 넘어버릴 수 도 있고, 비용또한 별도 발생한다.

 

꼭 t2.micro 하세요 다른건 요금이 부과됩니다.

 

우리가 생성한 아마존 서버에 ssh 로 접속하기 위한 key 입니당. 비밀번호라 생각하면 좋고, 인스턴스 생성시 한번만 발급되니 잘 다운로드 받아서 보관해 두세요.

 

- ssh란? 네트워크를 통해 다른 컴퓨터에 안전하게 접근하고 관리하기 위한 프로토콜이에요. 주로 리모트 서버에 접속하거나 파일 전송 등을 수행할 때 사용됩니당.

 

보안규칙은 아마존 서버의 어떤 포트를 어떤 ip 에 열어 줄 것 인지 결정해주는 규칙으로, 프로젝트를 진행하며 계속 수정해줘야 합니다. 우선은 그룹 생성으로 결정하고, 저는 고정된 곳에서 프로젝트를 진행하지 않고, 카페나 집 멀티캠퍼스를 돌아다니며 진행하므로 위치무관으로 결정해 주었습니다.

30기가 까지 사용이 가능하니 30기가로 해두는게 좋겠죠?

ssd도 범용으로 해야 추과 요금이 부가되지 않습니다.

 

인스턴스를 생성 한 후, 연결 버튼을 눌러 줍니다.

4가지 옵션이 나오는데요.

바로 연결을 누르면 웹상에서 ec2와 연결 할 수 있고, 다음과 같은 화면이 뜨면 성공!

해당 화면에서 리눅스 환경을 세팅해 주면 됩니당

하지만, vi 에디터에서나 여러 단축키를 쓰는 환경에서, 크롬의 단축키와 충돌이 빈번하게 발생 하는듯 해요.

 

맥os 환경이시라면 터미널을 이용한 ssh 접속이, 윈도우 환경이라면 putty를 이용한 ssh 클라이언트로 접속 방법이 더 좋아 보입니다.

 

이렇게 AWS 의 무료 정책을 이용하여 EC2 인스턴스를 생성해 보았는데요. 이를 이용하여 다양한 플랫폼에서 접속 가능한 웹 프로젝트를 개발해 볼게요!